목록전체 글 (106)
기술 블로그
일반적으로 엑티비티가 뷰나 프래그먼트의 인스턴스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호출했으나 콜백은 피호출자인 프래그먼트가 액티비티에게 거꾸로 알려주는 것이다. 호출자입장에서는 변화를 감시하다가 알아채기떄문에 리스너라고도 불립니다. 여기서는 매인액티비티와 colorFragment, colorListFragment 3개의 java파일이 있습니다. private ColorFragment mcolorFragment;@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mcolorFragment = (ColorFragment) ge..
콜백(Callback)은 이름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호출(Call)을 거꾸로(Back) 하는 것입니다.기촌에 호출자가 피호출자를 부르는 것과 반대로 피호출자(Callee)가 호출자(Caller)를 부르게 되죠.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시스템에 임의의 서비스를 호출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즉, 처리루틴은 시스템에 존재하고 사용자가 해당 루틴을 요청함에 따라 동작이 일어나는 것이죠. 이런 정상적인 호출과 달리 시스템 측에서 이벤트를 발생시켜 이에 대한 처리를 해달라고 요청해오는 과정에서 콜백이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경우와 반대가 되는 상황이죠. 프로그래밍에서 콜백(callback)은 다른 코드의 인수로서 넘겨받는 서브루틴이다. 이를 통해 높은 수준의 층에 정의된 서브루틴(또는 함수)을 낮은 수준의 추상화층이 호..
매인xml 매인 액티비티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FragmentManager fragmentManager = getSupportFragmentManager(); ColorFragment colorFragment = (ColorFragment) fragmentManager.findFragmentById(R.id.color_fragment);//연결 colorFragment.setColor(C..
자바스크립트의 배열은 자바의 배열과 약간 다르다 선언방법 var aray1 = new array(); 배열선언 var aray2 =new array("d","f","a"); var aray3=["a","f","d"] 배열에 값을 넣는방법1234567891011var arrNumber = new Array(); //배열선언 arrNumber[0] = 1;arrNumber[1] = 2;arrNumber[2] = 3;arrNumber[3] = 4;arrNumber[4] = 5; for(var i=0;i
변수들 private EditText mEditText; private Button mButton; private WebView mWebview; String urlst; 선언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mWebview = findViewById(R.id.webviewid);//xml에 정의한 뷰의 id로부터 뷰의 인스턴스를 변수에 할당한다. WebSettings webset = mWebview.getSettings(); //웹 세팅, mWebView 객체의 getString();메소드..
생명주기 onCreate() 액티비티 생성onDestory() 액티비티 종료 //만약 종료시 무엇인가를 해야한다면 이것을 오버라이딩 전체 수명은 onCreate()와 onDestroy()사이이며 각각 앱의 초기화(레이아웃구성),리소스 해제를 수행한다. onResume()과 onPause()에서 다루는 내용은 가벼워야 한다. 상당히 빠르게 지나가므로 오래걸리는 처리는 피해야한다. 절전모드로 전환되거나 AlertDialog를 띄울때도 onPause()가 호출된다. 앱이 강제종료될때 적절한 처리를 하기위해 onStop()에서 처리한다. 강제종료시에는 onPause()를 건너 뛰기 때문이다. onSaveInstanceState()콜백 메서드 활용 액티비티상태정보 저장하기 이것을 사용하면 종료 직전에 이 콜백 메..